2025. 2. 8. 03:11ㆍLG U+ why not SW 5/python
파이썬
a = 1
: a는 1과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, ' 1라는 값을 a라는 상자 속에 넣어 준다. 혹은 포함시킨다.' 는 개념.
* a == 1 : a는 1과 같다.
문자열
1. 숫자형
1) int와 float
int() : 정수
float() : 실수
2) 사칙연산
a + b : 덧셈
a - b : 뺄셈
a * b : 곱셈
a ** b : 제곱
a / b : 나누기
a // b : 몫
a % b : 나머지
2. 문자열 자료형 str()
1) 문자열 생성
: 문자들의 배열(list)
: 동일한 따옴표로 시작해서 끝나는 지점까지 문자열 생성
: 문자열 중간에 따옴표를 넣는다면, 서로 다른 따옴표 사용, *3
'hello' : 작은 따옴표
"hello" : 큰 따옴표
'''hello''' : 작은 따옴표 * 3
"""hello""" : 큰 따옴표 *3
2) 문자열 계산
_더하기
a = 'hello'
b = 'stranger!'
a + b
>>> 'hello stranger!'
_곱하기
a = 'hello'
a * 2
>>> 'hellohello'
3) 문자열 길이 구하기 : len()
a = 'life is too short'
len(a)
>>> 17
*문자열에 공백 포함
4) 문자열 인덱싱
: 문자를 한글자씩 가져와, 맨 앞 글자가 0부터 번호index를 붙임.
: 맨 처음부터 끝까지 [0]...[n]
: 맨 마지막부터 역순으로 [-1]...[-n]
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
a[3]
>>> 'e'
* a[3]:'e' : 파이썬의 시각
5) 문자열 슬라이싱
: 문자를 범위를 정해 덩어리째로 가져옴.
: a[0:5] => 0이상 5미만 1칸(기본)씩 간격으로
: a[0:5:2] => 0이상 5미만 2칸씩 간격으로
: a[::2] => 앞에서 2칸씩 간격으로
: a[::-2] => 뒤에서 2칸씩 간격으로
a = "20230331Rainy"
date = a[:8]
weather = a[8:]
print('date')
>>> '20230331'
print('weather')
>>> 'Rainy'
6-1) 문자열 포매팅
: 숫자 대입 : %d
"I eat %d apples." % 3
>>> 'I eat 3 apples.'
: 숫자를 변수로 대입
number = 3
"I eat %d apples." % number
>>> 'I eat 3 apples.'
: 소숫점 대입 : %f
"I eat %0.4f apples." % 0.12345678
>>> 'I eat 0.1234 apples.'
=> 소숫점 넷째자리까지 표시
"I eat %.2f apples." % 0.12345678
>>> 'I eat 0.12 apples.'
=> 소숫점 둘째자리까지 표시
: 문자 대입 : %s
: 문자열은 문자와 숫자 모두 수용
"I eat %s apples." % "five"
>>> 'I eat five apples.'
"I eat %s apples." % 3
>>> 'I eat 3 apples.'
: 2개 이상의 값 대입
number = 10
day = "three"
"I ate %d apples. so I was sick for %s days." % (number, day)
>>> '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three days.'
6-2) 문자열 포매팅 format함수
: {0}.format(b)
: 0를 b로 대체
: 숫자 대입
"I eat {0} apples.".format(3)
>>> 'I eat 3 apples.'
: 숫자를 변수로 대입
number = 10
"I eat {0} apples.".format(number)
>>> 'I eat 10 apples.'
: 문자 대입
"I eat {0} apples.".format('five')
>>> 'I eat five apples.'
: 2개 이상의 값 대입
number = 10
day = "three"
"I ate {0} apples. so I was sick for {1} days.".format(number, day)
>>> '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three days.'
: name=value 값으로 대입
"I ate {number} apples. so I was sick for {day} days.".format(number=10, day='three')
>>> '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three days.'
: 혼용
"I ate {0} apples. so I was sick for {day} days.".format(10, day='three')
>>> '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three days.'
6-2) 가장 간단한 f 문자열 포맷팅
: 포매팅하려는 문자 앞에 f
name = '홍길동'
age = 30
f'나의 이름은 {name}입니다. 나이는 {age}입니다.'
>>> '나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. 나이는 30입니다.'
: 딕셔너리 형태로 key:value를 한쌍으로 포맷팅
d = {'name':'홍길동', 'age':30}
f'나의 이름은 {d["name"]}입니다. 나이는 {d["age"]}입니다.'
>>> '나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. 나이는 30입니다.'
7) 문자열 바꾸기 : .replace()
a = "Life is too short"
a.replace("Life", "Your leg")
>>> 'Your leg is too short'
=> 'Life'라는 key값에 'Your leg'라는 value를 넣음
8)문자열 나누기 : .split()
a = "Life is too short"
a.split()
>>> ['Life', 'is', 'too', 'short']
=> 괄호 안의 공백을 기본으로 나눔
b = "a:b:c:d"
b.split(':')
>>> ['a', 'b', 'c', 'd']
_
교재를 전달 받아 앞부분부터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훑는데,
정리를 해 두자니 시간이 제법 걸린다.
'LG U+ why not SW 5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데이터 분석 _ 라이브러리 모음 (0) | 2025.03.02 |
---|---|
파이썬 기본 _ 입출력 : 함수, 입출력, 파일읽기쓰기 (0) | 2025.02.10 |
파이썬 기본 _ 제어문 : if문, while문, for문 (0) | 2025.02.09 |
파이썬 기본 _ 자료형 : 딕셔너리, 집합, 불 그리고 변수 (0) | 2025.02.09 |
파이썬 기본 _ 자료형 : 리스트, 튜플 (0) | 2025.02.09 |